헌혈의 집이나 차를 보면 왠지모르게 죄송하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수혈을 받은 적은 있으나 헌혈을 해 본 적 없는 죄책감때문일까요?
저는 헌혈을 할 수 없다는 말을 들었는데도 아직도 그런지 헌혈 조건 살펴보았습니다.
헌혈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고 합니다.
그냥 단순하게 피를 뽑는 것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전혈헌혈, 혈장성분헌혈, 혈소판성분헌혈, 혈소판혈장성분헌혈 등으로 나눠지게 됩니다.
전혈헌혈이란
적혈구, 백혈구, 혈장, 혈소판 등 혈액의 모든 성분을 채혈하는 것입니다.
약 10~15분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고 2개월 후부터 다음 헌혈이 가능하며 연 5회까지 가능합니다.
성분헌혈은 다시 다음의 세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혈소판성분헌혈이란
혈소판만을 채혈하고 나머지 성분은 헌혈자에게 돌려주는 것을 약 250ml를 채혈합니다.
혈장성분헌혈이란
혈장만 채혈하고 나머지 성분은 헌혈자에게 돌려주며 약 500ml 정도 채혈합니다.
혈소판혈장성분헌혈은
혈소판250ml, 혈장 300ml만 채혈하고 나머지 성분은 헌혈자에게 돌려줍니다.
혈장성분헌혈에는 약 30~40분 정도의 시간이, 혈소판과 혈소판혈장성분헌혈에는 약 1시간에서 1시간30분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며 2주후부터 다시 헌혈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헌혈 조건 살펴보겠습니다.
가능나이
전혈헌혈 만16~69세
혈장성분헌혈 만17~69세, 혈소판성분, 혈소판혈장성분헌혈 만17~59세
체중
: 남자 50kg이상, 여자 45kg이상
혈압
: 수축기 90~179, 이완기 100미만
체온
: 37.5도 이하
맥박
: 1분에 50~100회
헌혈간격
: 전혈헌혈은 2개월 경화후, 그 외 세가지 헌혈은 14일 경과 후 다시 할 수 있습니다.
헌혈횟수
: 전혈헌혈은 과거1년 이내 5회, 그외 성분헌혈은 과거 1년 이내에 24회
이외의 질병 및 여행 등과 관련된 헌혈 조건 다음과 같습니다.
외국여행에서 귀국후 1개월 경과, 감염병 및 기타 질병은 완치 후 일정기간 경과
예방접종 후 24시간 경과, 단 B형 간염 예방접종은 3주 경과 후
홍역, 유행성이하선연, 풍진 홉합백신, 수두 등은 접종 후 1개월 경과
약물
: 건선치료제 복용 후 3년 경과,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복용 후 1개월또는 6개월 경과
남성탈모증 치료제, 여드름 치료제 복용 후 1개월 경과, 헌혈금지약물 복용 후 일정기간 경과
임신, 분만, 유산 후 6개월, 수혈 후 1년 경과 등 꽤나 까다로운 헌혈 조건 입니다.
남에게 내 피를 줘야하는 것이며 그 피는 그 사람에게 어쩌면 새로운 삶을 살게 하는 것이니만큼 이렇게 까다로워야하는 것이 당연하겠죠?
헌혈은 하고 싶다는 마음만으로 되는 것이 아닙니다.
위의 여러 헌혈 조건 갖췄다하더라도 혹시나 신분증 없이 가셨다면 헌혈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기본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등 등의 신분증명서 또는 공공기관이나 법인에서 발급한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 그리고 고등학생인 경우는 학생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자세한 헌혈 조건 살펴보았습니다. 계속해서 철분제를 복용하고, 건선치료를 위해 약을 복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연고를 바르고 있는 저는 헌혈이 가능할까요?
아마도 부적합판정을 받을 것 같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