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자잡담...

대변에 피가 나오는 증상 혈변원인

by asukaro 2016. 3. 17.

얼마전 화장실에서 기분 나쁜 경험을 했네요. 

대변에 피가 나오는 증상 즉 혈변을 본 거...갑자기...나 무슨 병 난거 아닌가?

대장암? 치질? 뭘까?



배변시의 출혈은 기본적으로 치질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혈변원인 단지 치질만은 아닙니다. 

건강한 사람이라도 대변에 피가 나오는 증상 있을 수 있습니다. 

물론 치질이 가장 많은 원인이 되긴 합니다. 

하지만 그 외에도 여러가지 가능성이 있고 어떤 것이 원인인지 알기 위해서 

자신 스스로 판단하는 것은 너무나도 어려운 일입니다. 

대변검사를 하게 될 때는 변에 출혈이 있는지를 가장 먼저 보게 되는데요, 

우리 눈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워도 섞여 있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다만 출혈이 있는지 없는지만 검사하는 것으로 어디서 출혈이 있는지, 

무슨 원인으로 출혈이 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이것은 대장내시경검사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참 하기 힘든 검사 중 하나가 대장내시경이죠. 

그런 의미로 우선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먼저 알아보죠. 




혈변원인

붉은 혈변이 보였다면 항문 가까운 부위의 병변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치질 및 항문이 찢어짐 : 피 색깔이 선명합니다. 설사나 복통, 발열등의 증상은 없으며 

다만 변비증상은 있습니다. 배젼시 항문의 통증이나 항문에 뭔지모를 위화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대장폴립, 직장암 : 혈변은 치질 출혈의 경우와 달리 변애 점액과 함께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변비와 설사를 반복하거나 배변습관에 변화가 생깁니다. 

배변후에도 시원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도 많습니다. 

출혈은 중간이나 대량출혈이 계속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통은 있을 때도 있고 없을 때도 있습니다. 




궤양성 대장염 : 30대 이하 젊은사람들에게서 많이 볼 수 있는 병으로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자기면역이상이나 심리적요인이라고 말해집니다. 

대장에 궤양이 발생해 만성 점액이 섞인 출혈 설사가 계속 됩니다. 


허혈성 대장염 : 대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 막히거나 좁아져서 생기는 병입니다. 

노인으로 동맥경화나 당뇨병환자에게서 많으며 갑자기 혈변을 보고 복통은 왼쪽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대장게실염 : 대장벽이 주머니 모양으로 튀어나와 작은 방같은 것이 생기는 병입니다. 

한개인 경우도 있지만 여러개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고령자에게 많은 병으로 일반적으로 증상이 없습니다. 

그러나 그 게실에 장의 내용물이 쌓여 염증을 일으켜 출혈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점액이나 농이 붙이 혈변을 보게 됩니다. 그다지 심한 출혈은 아닙니다. 


출혈성대장염 : 어떤 종류의 대장균에 감염되어 독소를 발생해 

출혈성 설사와 중증의 합병증을 일으키는 위장염입니다. 

모든 연령대에서 볼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와 고령자가 심합니다. 

복부가 경련하는 듯한 통증과 물같은 설사가 시작되고 24시간 이내에 혈변을 보게 됩니다. 

설사는 보통 일주일정도 계속됩니다. 발열은 없고 있어도 미열입니다. 



위막성장염 : 항생물질을 장기간 사용하면 장 속에 살고 있는 선옥균이 항생물질에 의해 살균되어

대장점막에서 균교대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때 이상증식한 균이 독소를 만들어내 장관점막에 상처가 생기고 위막을 형성하는 대장염이 생기고 

설사를 하게 됩니다. 점액, 혈액을 동반한 설사가 주 증상이며 복통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발열증상도 있습니다. 만약 항생제 투약후 설사를 하게 되면 한번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대변에 피가 나오는 증상 즉 혈변이 있을 경우 검사는 

우선 문진부터 시작되어 여러 가지 검사를 하게 되니 

혈변을 자주 보거나 오래 지속되는 경우는 반드시 병원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항문에서 피가 나오는 것처럼 생각되지만 항문을 통해 나오는 것을 수 있습니다. 

누구라도 깜짝 놀라서 걱정하게 되는 증상이기도 하구요. 

하지만 역시나 검사하러 가기엔 창피함과 부끄러움이 먼저인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혈변원인 자체가 여러가지이고 항문에서 피가 나오는 증상 하나만으로 판단할 수 없으니 

가까운 항문외과나 소화기병 전문의와의 상담은 꼭 필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