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가위눌림 증상 및 가위눌림 원인과 대책법

by asukaro 2016. 8. 12.

자다가 갑자기 옴짝달싹 못하게 되는 경우 있지 않나요? 

밤에 눈이 뜨였는데 갑자기 몸이 움직이지 않는 경험 있나요? 

가위눌림 증상 , 의학적으로는 수면마비라 부르고 있습니다. 

일종의 수면장애라는 가위눌림 원인과 대책법 알아보겠습니다. 



가위눌림 증상 

오랜 옛날부터 귀신이나 영령의 짓이라고 말해진 오컬트적인 느낌이 강한 이 증상을 좀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심야에 의식은 있는데 갑자기 손발이 움직이지 않는다. 

2. 목소리도 나오지 않는다. 

3. 문을 감을 수 없다. 

4. 숨도 제대로 쉴 수 없다. 

5. 누군가가 내 위에 올라타고 앉은 듯한 묵직함을 느낀다. 

6. 이명이 들린다. 

7. 귀신이나 사람을 본다.



가위눌림 원인과 대책법 , 예방법 

수면리듬과 큰 관계가 있다. 

논렘수면 : 뇌는 자고 있고 몸이 일어나 있는 상태 (깊은 수면)

렘수면 : 뇌는 일어나 있고 몸이 잠들어 있는 상태 (얕은 수면-빠른 안구운동이 일어남)

일반적으로 논렘수면에서 렘수면으로 들어가는데 이것이 거꾸로 되는 경우가 있다. 

그렇게 되면 뇌는 깨어있어 의식은 있는데 몸을 움직일 수 없게 되는 가위눌림 증상 즉 수면마비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꿈을 꾸는 것은 렘수면일때로 눈이 뜨였다, 뭔가를 느꼈다, 누구를 봤다는 것은 잠자기 직전 잔상 또는 꿈일 확률이 높다. 



원인 

1. 똑바로 누워잔다 : 수면균형이 깨지기 쉽다. 

2. 수면부족 또는 수면과다, 과다한 낮잠 등 수면 리듬의 불균형

3. 스트레스와 피곤 

4. 너무 흥분했을 때 (흥분상태로 잠이 들면 수면균형이 깨짐)

5. 침구 : 베개가 너무 높다, 이불이 너무 무겁다 

7. 가슴에 손을 얹거나 아기, 고양이나 개 등 반려동물이 올라 앉아 있다. 



대책법 

1. 손가락등 몸 어딘가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이 있으면 천천히 움직이도록한다. 

2. 눈을 떼굴떼굴 굴린다. 

3. 복식호흡

4. 전혀 움직일 수 없을 때는 무서워하지말고 이것은 꿈이다고 냉정하게 자신에게 말하고 다시 잠들도록 한다. 

무리해 움직이려하면 상당한 체력소모가 있게 된다. 


예방법

옆으로 누워잔다, 넉넉한 파자마를 입고 베개를 적당한 높이로 맞추고 잠들기 전 호러영화나 책 등은 피한다. 

편안한 음악을 듣고 규칙바른 생활을 한다. 

가위눌림은 어쩌면 기면증의 한 표현일지도 모릅니다. 다음에는 기면증 관련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가위눌림 증상 및 가위눌림 원인과 대책법 그리고 예방법을 알아봤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