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CRPS란?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증상 및 원인과 치료

by asukaro 2017. 3. 2.

crps,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이라 불리는 CRPS 

최근 소울메이트의 신동욱씨가 TV출연해 한번 더 살짝 이야기된 질환. 

분만의 고통보다 심하고 몇백개의 부위에 통증을 느낀다고 합니다. 

대략적인 CRPS,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증상 및 원인과 치료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1. CRPS란,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교감신경의 과잉활동에 의해 생기는 통증

증상이 매우 다채롭고 치료법에 있어서도 명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 



2. CRPS,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증상 및 원인과 치료 

2-1. 원인 

교감신경의 과잉활성화

대부분의 경우는 어떤 외상으로 신경이나 뼈, 근육계 조직 손상, 내장질환과 중추신경손상등으로 발생한다. 

불의의 외상 뿐만아니라 인공관절등의 수술후 등의 경우에도 생기기도 한다. 

손상된 신경이 새로운 섬유로 발아해 감각등을 관장하는 신경로에 침입해 이상지각, 즉 동통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crps, 복합부위통증증후군

2-2. 증상 

아주 다양한 임상증상을 보인다. 

모든 증상을 나열하자면 끝이 없고 다음과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통각과민, 이상통, 감각과민, 감각저하, 촉각이상

피부색변화 : 발진, 홍조, 치아노제, 창백, 반점이나 점의 변화 

발한이상 : 땀이 너무 많이 나거나 나지 않는다

부종, 피부위축과 피부색초침착 

피부의 주름소실과 광택화 

체모가 과다증가하거나 소실된다. 

손톱, 발톱이 솟아오르거나 구부러지거나 얇아지고 약해진다. 

피하조직 위축 혹은 비후

듀프이트렌구축 혹은 그외의 구축

관절가동역제한, 급성 또는 만성관절염

골위축, 골다공증

근위축, 근력저하

불수의운동(의지와 관계없이 몸이 움직임)

요도괄약근 기능이상 등을 들 수 있다. 

가장 증상이 많이 나타나는 부위는 손이라고 한다. 




crps, 복합부위통증증후군

2-3. 치료 

아직은 완치를 위한 치료방법은 없다. 

다만 다음과 같은 증상에 따른 치료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동통 치료법 

투약치료, 신경블록, 척수전기자극법 등을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적용한다. 

동통치료는 대증요법에 지나지 않는다. 


* 기능장애 치료법 

환부 중 손발을 움직이지 않는 것은 관절가동역 제한과 뼈 위축등을 초래한다. 

이로서 운동요법이나 물리요법을 병용하면서 기능회복을 촉진한다. 

또한 신경블록등의 병용과 동통을 관리하는 생활지도도 중요하다. 



* 심리요법 

치료저항성을 나타내기쉽고 난치성으로 말해지는 CRPS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에 걸리면 통증은 물론 불안감으로도 정상적인 가치관과 이해능력을 잃을 수 있다. 

그리고 정상적인 사회생활도 불가능해진다. 

환자교육의 일환으로 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심리요법이 중요해진다. 


말로 표현할 수 없고 헤아릴수도 없다는 CRPS,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증상 및 원인과 치료에 관해 살펴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