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뼈에 금이가면 ? 골절 증상과 치료방법

by asukaro 2017. 4. 22.

뼈에 금

넘어지거나 넘어지려다 손을 짚어서 등등 일상생활에서 어떻게든 발생할 수 있는 골절 

뼈에 금이가면 어떤 증상을 보일까요? 

오늘은 골절 증상과 치료방법, 뼈에 금이가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지 알아볼까 합니다. 



뼈에 금이 가는 원인 

넘어짐

특히 고령자인 경우는 골다공증 등으로 인해 조그만 충격에도 큰 충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냥 넘어지기만 했는데도 뼈에 금이 가거나 골절 등의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타박 

어딘가에 심하게 몸이 부딪히게 되는 타박상. 피부도 벌거죽죽하게 멍이 들고 심한 통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손가락 골절 

일상생활에서 의외로 발생하기 쉬운 것이 손가락 골절입니다. 

운동을 하거나 물건을 잡거나 하다가도 손가락을 접지르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피로골절 

같은 곳을 매일 혹사시키면 뼈도 피곤이 쌓여 언제가 골절상태가 될 수도 있습니다. 


● 뼈에 금이가면? 골절 증상과 치료방법 

뼈에 금

1. 증상 


극심한 통증 

뼈에 금이가면 상상을 초월할만큼의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조금이라도 움직이려하면 통증은 더 심해지고 이런 통증으로 몸을 움직이는 것도 겁을 내게 됩니다. 



부어오름 

금이가거나 골절이 되면 환부가 심하게 부어 오릅니다. 

특히나 부으면 피부의 문제라 생각해 찜질을 하면서 낫기를 기다리기도 합니다. 

하지만 피부문제가 아닌 뼈에 금이 간 상황이라면 찜질로 나을 수 없습니다. 

뼈에 금

붓지 않는 경우 

더욱더 곤란한 증상 중 하나가 붓지 않을 때입니다. 

심한 충격을 받았거나 통증이 몇일동안 계속되지만 붓지 않는다고 골절이 아니라고 할 수만은 없습니다. 


내출혈

특히 보라색이나 시퍼렇게 멍든 것처럼 보인다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타박상일 경우도 있지만 동시에 골절이나 뼈에 금이 간 상태일 가능성도 높습니다. 



2. 치료방법 

X레이사진으로 상태 확인 

부목을 대고 부위 고정 

찜질과 안정을 취하며 회복을 기다린다. 

경우에 따라 진통제 복용을 하기도 한다. 

골절과는 달리 기본적으로 수술을 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수술로 낫는 것도 압니다. 뼈에 금이가면 최고의 약은 안정 입니다. 

찜질로 염증을 가라앉히고 진통제 등으로 통증을 완화시키면서 참는 것 그것이 최고의 치료법입니다. 

뼈에 금이가면 보통 3주에서 한달 정도로 회복이 가능합니다. 



골절 증상과 치료방법 그리고 뼈에 금이가면 보이는 증상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