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물비누, 거품비누, 고형비누 등 비누 종류와 성분 등에 관해

by asukaro 2017. 4. 18.

비누

화장실에 어떤 비누를 놓고 쓰시나요? 

저는 손 씻는 것도 클렌징하는 것도 모두 거품비누통 세개 나란히 놓아두었습니다. 

고형비누는 있긴 하지만 요즘은 잘 안쓰게 되고, 물비누 쓸바엔 거품비누 쓴다고 생각해서요. 

이러한 물비누, 거품비누, 고형비누 등 비누 종류와 성분 등에 관해 더 알아보고자 합니다. 



비누란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 동식물의 기름, 즉 유지로 만든다고 합니다. 

알칼리의 종류에 따라 크게 두가지로 나눈다고 합니다. 

유지를 수산화나트륨 (가성소다)과 섞은 것은 고형비누와 가루비누

유지를 수산화칼륨 (가성칼리)과 섞은 것은 젤리타입의 고체가 됩니다. 



물비누, 거품비누, 고형비누 세가지 비누 종류와 성분 등을 좀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고체비누

고형비누 

시판 비누는 지방산의 알칼리염(나트륨염)을 비누, 계면활성제로 만든 것 

세정보조제로 탄산염, 규산염, 인산염 등 무기염류를 포함한 것과 금속봉쇄제인 킬레이트를 함유한 것도 있다. 

첨가제로 향료와 염료, 글리세린, 천연유지, 허브, 비타민 등과 보존료가 더해지는 비누, 

그리고 천연성분만으로 옛날 방법으로 만드는, 무첨가를 특징으로 하는 천연비누 등으로 나뉜다. 

장점 : 세정효과가 뛰어나다. 

단점 : 여러 사람이 사용할 경우 다른 사람의 오염이 비누표면에 묻어 있어 위생적 문제가 있다. 

손바닥에서 비누를 문질러 녹이는데까지 시간이 걸린다. 그동안 물을 틀어놓은 채로면 물낭비가 된다. 



거품비누

거품비누 

물비누에 거품이 잘 나게 하기 위해 기포제 등으로 더한 것이다. 

이들 성분을 녹이기위해 물이나 그외의 화학성분이 더해져 있다. 

장점 : 여러 비누 중 가장 빠르게 씻을 수 있다. 

손바닥에서 거품내는 시간이 짧아진다. 헹굴 때도 세정성분이 금방 씻어낼 수 있다. 

단점 :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량이 적어 세정효과가 떨어진다. 

거품이 금방 꺼져 실제로 필요한 양보다 많이 쓰게 된다. 



고체비누

물비누 

계면활성제가 지방산인 칼륨염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칼륨염은 상온에서는 젤리상태, 점액상태라 적당하게 물을 더한 것이 물비누이다. 

비누성분이 많아지면 용기안에서 굳어지기 때문에 비누성분은 적은 편이다. 

장점 : 제조비용이 고형비누보다 저렴하다. 여러사람이 돌려써도 다른 사람의 오염이 묻어있지 않다. 

손바닥에서 거품 내는 시간이 고형비누보다 짧다. 숙박시설에서는 사용한 만큼 보충하면 된다. 

단점 : 순수비누성분비율이 제품전체의 30%정도로 적고 고형비누보다 세정력이 떨어진다. 

거품비누

지금까지는 거품비누 위주로만 사용했는데 집에 남아도는 고형비누 다 사용해볼까 하네요. 

세정효과가 가장 뛰어나다고 하니까요. 손 씻는 비누도 물비누로 바꿔야겠습니다. 

오늘은 비누 종류와 성분 등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