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차이, 무산소운동 효과는 ?

by asukaro 2017. 3. 21.



무산소운동

말은 많이 들어봤고 대충 어떤 운동인지도 알고 있는 운동과 그리고 낯설은 운동이네요.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차이 그리고 무산소운동 효과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근육은 몸안에 쌓인 지방을 태워줍니다. 

운동을 하지않은 근육은 지방을 태워주지 않습니다. 

사용되지않은 지방은 모두 체지방으로 축적되어 버립니다. 

운동하지 않는 몸에는 혈액속에도 지방이 넘쳐나게 되어 고지혈증의 원인이 됩니다. 



간단하게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차이 알아보겠습니다. 

** 유산소운동 : 체지방연소 **

유산소운동

말 그대로 산소를 필요로 하는 운동이다. 

체내에 들어온 산소를 사용해 당질과 지방을 연소시켜 에너지를 발생한다. 

운동강도가 세지않아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하반신의 큰 근육을 사용해 혈액순환이 좋아져 건강유지 및 피부트러블, 부종해소효과가 있다. 

지속적이고 비교적 약한 힘을 근육으로 사용하면 에너지원으로 체내 축적되어 있던 체비장을 연소시킨다. 

연소재료로 산소가 필요하다. 20분이상 계속하면 지방연소가 효과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에어로빅, 워킹, 수영, 조깅, 줄넘기, 사이클링 등 


20분정도까지 사용되는 지방은 혈액속의 지방이다. 

따라서 혈액을 깨끗하게 만들어 건강유지에 필요하다. 

하지만 지방세포를 줄이는데는 효과적이지 않다. 



** 무산소운동 : 기초대사량 증가 **

산소를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운동이다. 

그렇다고 호흡을 멈출 순 없으므로 완전한 무산소는 아니다. 

순간적으로 강한 힘이 필요한 때 근육에 쌓여있던 당질, 글리코겐을 주원료로 사용하게 된다. 

산소가 필요하지 않아 단시간밖에 운동할 수 없지만 근육단련에 효과적이다. 

슨발력을 요구하는 근력트레이닝, 단거리질주 등 


** 체지방을 줄이는 포인트 ** 

20분후부터 사용되는 지방은 내장과 피하지방이다. 

혈액속의 지방분을 어느정도 사용하고나면 드디어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이 사용되게 된다. 

지방세포에 쌓인 지방은 지방분해효소인 리파아제로 인해 분해되면서 드디어 연소에 사용된다. 



무산소운동

** 무산소운동 효과 ** 

1. 기초대사 상승 효과 

다이어트에 있어서도 중요한 기초대사는 유산소운동으로는 높일 수 없다. 

무산소운동을 계속하면 근육이 만들어지고 근육이 증가하면 기초대사가 상승한다. 


2. 안티에이징 효과 

당이 에너지로 분해되고 그때 발생하는 젖산이 축적된다. 

젖산에는 성장호르몬을 분비하는 효과가 있고 이는 대사상승, 근육형성, 지방분해, 노화방지 등으로 이어진다. 


3. 지방연소촉진 효과 

유산소운동전에 무산소운동을 하면 효율적인 지방연소가 이루어지고 효율도 높일 수 있다. 


어느 하나만 열심히 한다고해서 건강해지고 다이어트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차이 확인해 좀더 효율적인 방법을 접목시켜야겠습니다. 

무산소운동 효과 무시해서는 안되겠습니다. 


댓글